Programming/Architecture 썸네일형 리스트형 Chapter1 워드(Word) - 컴퓨터에서 자연스러운 접근단위. 한번에 계산할 수 있는 단위 레지스터 번호 - 0 부터 31번까지 데이터 전송 명령어 - 메모리와 레지스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는 명렁어 메모리는 주소가 인덱스 역할을 하는 큰 일차원 배열이다. MIPS는 바이트 주소 방식을 사용하므로 4바이트 기준으로 저장된다. 적재(load) - 메모리에서 레지스터로 데이터를 복사해 오는 데이터 전송 명령 - lw 저장(store) - 레지스터에서 메모리로 데이터를 보내는 명령 - sw MIPS 에서 워드의 시작 주소는 항상 4의 배수이어야 한다. -이러한 요구 사항들을 정렬제약(alignment restriction)이라 한다. - 속도가 빨라짐 MIPS는 최상위 주소를 사용하는 빅엔디안(big-endian)계열.. 더보기 Chapter3 덧셈에서는 부호가 다른 피연산자를 더할 경우에는 오버플로가 발생하지 않는다. 이유는 계산 결과가 두 피연산자 주 어느 하나보다는 커질 수 없기 때문이다. 뺄셈에서도 똑같이 오버 플로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. 단 뺄셈이므로 부호가 같을 경우에는 오버플로가 발생할 수 없다.(두번째 연산자의 부호를 바꾸어 더하는 방식으로 뺄셈을 처리하므로)그러므로 같은 부호의 수를 빼는 것은 부호가 다른 수를 더하는 것과 같다. 워드의 크기 32비트 32비트 수 두개를 더하거나 뺸 결과를 완벽하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33비트가 필요할 경우가 있다. 워드 크기가 32비트이므로 33번째 비트는 표시할 수 없는데, 이렇게 되면 부호 비트가 결과의 부호가 아니라 크기를 나타내는 비트 중 최상의 비트 값으로 결정된다. 두 양수를 .. 더보기 Chapter1 메모리 모델을 사라지게 만든 두 가지 이슈 : 메모리의 계층성과 프로세서의 병렬성 RAM : Random Access MemoryCPU : 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그램의 성능은 사용된 알고리즘의 효율성과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기계어로 번역하는 데 사용된 소프트웨어 시스템, 입출력(I/O) 작업을 포함하여 번역된 명령어를 실행하는 컴퓨터릐 효율성에 의해 결정된다. Moore의 법칙(Moore's Law) : 18~ 24 개월마다 칩에 집적되는 소자의 수가 2배가 된다. 추상화(abstraction) : 하위 수준의 상세한 사항을 안 보이게 함으로써 상위 수준 모델을 단순화 한다. 자주 생기는 일을 빠르게(common case fast) 병렬성(parallelism) : 일의 양을 균등.. 더보기 이전 1 다음